본문 바로가기

Knowhow8

Tabletop Simulator 부족한 용량 해결하기 보드게이머 여러분 안녕하세요! 스팀에서 팔고 있는 Tabletop Simulator(TTS) 많이들 사용하고 계시는가요? 저도 사용하고 있습니다. 보드게임을 구매하기 전에 미리 플레이해볼 수도 있고, 내가 가진 보드게임을 디지털화하여 온라인으로 다른 사람과 같이 즐길 수도 있습니다. 아주 많은 장점이 있습니다. 실제 보드게임에서 허접하거나 썰렁한 맵보드를 디지털 데이터로 멋지고 예쁘게 꾸며 눈이 심심하지 않게 만들 수도 있죠. 또는 보드게임을 한 번 만들어 보고 싶다면 TTS에서 만들어 보고 플레이해 볼 수도 있습니다. 다만, 디지털 데이터다 보니 본인이 관리하지 않거나, 다른 사람의 데이터를 사용하고 있다면, 데이터가 사라질 수도 있습니다. 이 문제는 해결할 수 있지만, 내 것이 아니라면 언제 사라질지.. 2023. 2. 6.
주석 모델 핀 바이스로 황동선 박아주기! 한 참이나 고민했다! 최근 도색을 좀 해보겠다고 이런 저런 준비도 해서 큰 맘 먹고 주석 모델에 핀을 박아 보기로 했다. 작은 녀석들은 크게 플레이중 충격이 가질 않아 순간 접착제로 해결해도 될 것 같은데, 큰 넘들은 확실히 핀을 박지 않으면 작은 충격에도 팔이나 몸체가 무게가 있어서 잘 떨어졌었다. 그래서 이번 참에 한 번 작업해 보기로 했다. 정말 큰 맘 먹었음. ㅡ.,ㅡ;;; 우선 준비물을 살펴보자! 자 이제 모델을 살펴보자! 기타 다리에 붙어 있는 부품도 있고 가슴에 붙는 부품도 있는지만~~ 핀 박기가 난해 해서 그냥 순접으로 하기로 했고, 혹시나 떨어져도 다시 붙이기도 쉬워서 그냥 순접으로 마무리 하기로 했다. 우선 다리를 붙일 곳에 심을 꽂을 구멍을 뚫어보자. 이제 몸통을 뚫었으니~~~ 다리도.. 2020. 2. 19.
주석 모델 탈크 제거하기 얼마전에 인피티니(Infinity) 스타터 셋과 Duel of Giants에 미니어처로 사용할 주석 모델을 구입했었다. 주석은 첨 다루어 보는거라 사전 정보가 필요했다. 주형 모델은 기본적으로 표현에 하얗게 묻어 있는 탈크(Talc, Talcum, 활석, 滑石)라는 것이 있는데, 주형 틀에서 쉽에 떼어내기 위해 뿌리는 것이다. 이것을 제거 해야 하는데 제거 방법은 황동솔로 문질러 줘야 한다. 황동솔은 일반 철물점이나 전기 관련 제품을 파는 곳에 가면 800원? 정도 하면 구입이 가능하다. 탈크를 제거해야만 모델도 깔끔해지지만, 무엇보다 도색을 해도 뜨지 않고 잘 벗겨지지 않는다. 물론 도색도 깔끔하게 될 것이다.탈크 제거 전에 찍어둔 사진이다. 겉 표면이 거칠고, 은색 같이 하얗게 묻어 있다. 탈크라는걸.. 2017. 7. 24.
아그리콜라 정리하기 아그리 콜라 정리. 지퍼백과 명함통, 그리고 꽂감 먹고 남은 통을 모아서 이럴때 쓰게 된다. 아주 깔끔한 정리인듯!. 플레이할때 꽂감통은 뚜겅만 열만 바로 실용적인 플레이용 트레이로도 쓰인다. 아주 좋다! 2017. 1. 19.
[Board&War] How to make Counter Clipper & use 카운터가 많은 보드게임은 단연 워게임이다.허나 너무 많다 보니 기존에 내가 쓰던 손톱깍기로는 모서리를깔끔하게 하는 작업으로는 너무 힘들었다.최근에 구입한 코리아:포가튼 워라든가 비욘드 발러 및 넥스트 워 같은 게임은카운터가 엄청 많다. 특히나 발러는 천개가 넘는다. 이걸 언제 다 하나? 싶어서고민끝에 만들기로 했다. 물론 해외싸이트에 파는 곳도 있지만, $30정도 하는데너무 비싸다. 그렇다면 싸게 만들어 보자.영상을 찍을 당시는 레고로 카운터를 고정할 방법을 미쳐 생각 못했다가 나중에 생각해 내게 되었다. 하단의 영상이 레고를 이용한 방법! 이렇게 준비를 하고 나면 카운터 모서리를 잘라낼 준비가 된다. 하단에 있는 나무판의 역할은 칼질 할 때 아무래도 높이가 있으면 편하니 책이라든가 뭐라도 좋으니높이를 .. 2014. 11. 10.
How to protect Boardgame Tile 보드게임에 들어 있는 각종 타일들은 종이 되어 있기 때문에 모서리 부분이쉽게 벌어지거나 헤어질 수 있기 때문에 미리 코팅처럼 해주면오래동안 잘 보호 할 수 있다. 2014. 11.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