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우리가 색상에 대해 이야기 할때 따뜻함과 차가움이란 말로 색상에 대한 느낌을 이야기 할때가 있다. 그렇다면 난색은 왜 난색이라 하고 한색은 왜 한색이라 할까? 아주 단순한 질문임에도 대답하기 썩 쉽지는 않으리라 생각한다. 프리즘을 통해 나오는 색의 파장에 따른 색상의 분류를 보면 빨강,주황,노랑,초록,파랑,남색,보라 이렇게 보인다.   우리가 무지개를 통해 이러한 색을 보게 되는 것은 공기 중에 있는 수분 입자가 분광작용을 일으켜 빛의 스펙트럼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이 색파장 중에서 빨간색 파장은 780㎛의 장파이며, 보라색 파장은 380㎛의 단파이다. 이 범위 안에 있는 파장은 각기 다른 주파수를 가지며, 주파수에 따라 서로 다른 색 지각을 일으킨다. 이 중 난색으로 나타나는 장파는 투과율이 높으며, 한색으로 나타나는 단파는 공기 중의 입자와 만나게 되면 쉽게 산란되는 특성이 있다. 우리가 하늘의 색이 시시각각으로 달라지는 것을 볼 수 있는 이유는 바로 이러한 파장의 특성 때문이다. 낮에는 빛이 공기 중의 수분입자나 먼지에 부딪혀 단파의 산란작용이 빈번하게 일어나므로 하늘이 파랗게 보이게 된다. 또한 황혼이 지는 하늘은 해가 기울면서 빛이 통과해야 하는 대기 층의 거리가 길어지게 되며, 결국 투과율이 높은 장파만이 우리의 눈에 들어오게 되면서 붉게 보이는 것이다.   우리는 자연스럽게 노을이 질때의 따뜻함과 새벽녁의 차가움이 자연스럽게 인지 하고 있으나 생각하지 못했을뿐 이고, 이런 이유로 붉은 계열을 난색(따뜻한 저녁노을 연상하게 만듬)과 한색(새벽녁의 차가움)으로 분류를 해서 표현하게 된 것이다.


반응형

'Paint > As for color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색상표  (0) 2017.03.13
Photoshop Essential Color Settings  (0) 2014.11.23
색 채  (0) 2014.09.10
보색  (0) 2014.09.10
반응형

보색 [補色, complementary color]   두 가지 색깔을 겹쳐서 흰색을 만들 때, 그 두 가지 색깔을 보색 또는 보색 관계라고 한다.   빛의 삼원색이 빨강, 파랑, 초록이므로 빨강과 초록이 겹쳐서 나타난 노랑은 파랑만 겹치면 흰색이 되므로, 노랑과 파랑은 보색 관계가 되는 것이다. 빨강과 파랑이 겹쳐서 나타난 자홍은 초록과 보색 관계이며, 파랑과 초록이 겹쳐서 나타난 청록은 빨강과 보색 관계이다. 또한 백색광에서 어떤 색깔을 뺀다면 남는 색깔이 뺀 색깔의 보색이 된다. 예를 들면 빨강만 흡수하는 색소에 백색광을 비출 때 그 빛은 반사되어 청록색이 되는 것이다. 색상환에서 반대편에 위치한 색을 보색이라 한다.


반응형

'Paint > As for color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색상표  (0) 2017.03.13
Photoshop Essential Color Settings  (0) 2014.11.23
색 채  (0) 2014.09.10
난색과 한색  (0) 2014.09.10
반응형



헤에 셀렉션


색상 바꾸기


포토샵 투토리얼 바로가기 <--- 클릭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