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내가 어릴쩍 봤었던 볼트론이 미니어처 게임으로 나왔었다. 제품이 2010년에 나왔었는데, 내가 구입한 시기는 정확하진 않지만, 2013~4년도쯤? 될려나? 몬스터 포칼립스를 구매를 하다가 이 제품에 대한 소식을 알게 되어 구입하게 되었다. 추억팔이 정도의 게임이라고 생각하면 되겠다. 몬스터포칼립스와 같이 건물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맵에 충분히 우주 배경에 대한 설정이 잘 되어 있다. 기본적인 시스템은 몬스터포칼립스와 똑같다. 초기 유닛 혹은 몬스터를 활성화 할 수 있고, 언제든 차례에 유닛 혹은 몬스터 화성화를 선택하여 행동을 할 수 있다. 이 게임의 맛은 아무래도 거대 몬스터를 다룬다는 것이다. 특이한 점은 유닛과 몬스터의 개별 활성화로 전략적인 선택적 활성화를 잘 해야만 한다. 액션 주사위의 시기 적절한 여유로 죽음에서 탈출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기도 한다. 각 유닛마다 특수 능력이 있어서, 개인적 공격에도 사용되지만, 협동 공격으로 자신의 특수 능력과 협동에 따른 대량 지원을 받을 수 있어서, 몬스터라도 협공에 공격을 받는다면, 큰 위험이 따를 수도 있다. 몬스터포칼립스는 유닛도 다양하고, 건물도 다양하여 맵 자체에 요약이 거의 없지만, 볼트론에서는 해당 진영 측 쪽에 요약이 잘 되어 있다.

기본 셋팅에서 시작은 morpher(모퍼, 볼트론의 개별 유닛이며, Alpha form이라고 함)로 시작한다. 모퍼로 플레이하다가 공격전에는 언제든지 파워 주사위만 있다면, 몬스터로(Voltron 혹은 Lo-tron) 합체할 수도 있다. 몬스터로 변신한다면, 몬스터만의 특수 공격 기술들이 있다. 레슬링과 같은 기술이라 생각하면 되는데, 특촬물 등에서 나오는 거대 괴수들의 싸움을 연상하면 나름 흡사한 상상을 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이것이 볼트론이다. 이동 6, 방어 7, Brawl 8(근접 공격), Blast 8(원거리 공격), 파워 공격 7, 체력 6이다.

이것이 볼트론이다. 이동 7, 방어 6, Brawl 7(근접 공격), Blast 6(원거리 공격), 파워 공격 8, 체력 6이다.

볼트론은 전투적이다. 라이온 스타일의 5기는 각자의 고유 능력이 따로 있다. 이런 것들로 개성있는 개별 알파폼이 된다. 로트론은 닌자같은 녀석이다. 치고빠지고를 할 수 있어서, 공격과 도주에 능하다고 할 수 있겠다.

이 상황은 이미 로트론은 사망하고, Lo-tron의 알파폼만이 맵에 남아있다. 볼트론과 로트론은 역시 다른 유닛들도 가지고 있다. 공격력이 약하지만, 자신의 공격과 방어를 위해 맵에서 중요한 위치 선정을 기본적인 임무로 전장에 지배하게 된다. 공격력도 약하고, 방어도 약햐지만, 유리한 정보을 억기 위해서는 적시적소의 위치 선점이 중요하다.

볼트론과 로트론이 힘겨운 싸움을 하고있다.

맵 가운데에 있는 초신성은 어떤 유닛 혹은 몬스터라도 피해를 준다. 이 게임에서는 가랑비에 옷 젖듯이, 여기저기에 피해를 받을 수 있는 요소들이 많아서, 조심해야한다. 무엇보다 상대가 공격할 수도 있으니 전략적인 이동을 잘 하도록 하자.

아들과 내가 몬스터포칼립스를 해본터라, 게임 시스템이 어려운건 없다. 플레이는 그럭저럭 할만하다. 몬스터포칼립스보다는 다소 심심한 느낌은 없자나 있지만, 볼트론이자나~~~~~~~~~~~~~~ ㅎㅎㅎ. 잠시 동심으로 돌아가 아들과 로봇으로 합체하며 우리만의 재미있는 시간을 보냈다. 다음에는 좀 더 전략적인 게임이 되기를 기대해본다. 아들이 유닛 혹은 몬스터의 특수 능력을 좀 더 이해하고 플레이한다면, 충분히 더 재미있게 플레이를 할 수 있을 것이다.

반응형
반응형

지난 번의 어설픈 플레이를 뒤로 하고, 시나리오도 번역하고, 디테일한 룰도 다시 확인하여 캐릭 참조판도 만들었다. 이제 완벽하다. 시나리오 1을 다시 아들과 플레이를 했다. 역시 아들이 해병을 맡고, 내가 침략자를 맡았다. 아무래도 시나리오 진행은 침략자 플레이어가 해야 하기 때문에~~~ 아들이 침략자를 하고 싶어 했지만, 일단 시나리오 1을 끝낸다면 그때 시켜주기로 했다. 공간이 은근히 많이 차지하는데, 기어즈 오브 워 보다는 자리를 더 많이 차지하는듯 하다. 그리고 스페이스 헐크 보다는 덜 차지한다. 스페이스 헐크가 맵이 너무 커서 무슨 시나리오를 해도 이 탁자에서는 플레이가 불가능 하다. 쩝.

지난 번 보다는 아들이 좀 더 능숙하게 플레이를 이어갔지만, 해병의 특수 액션을 잘 활용하지 못했다. 몇번이나 잘 살펴보고 활용하면 좀 더 쉽게 진행 할 수 있을 거라 말했지만, 계속 단순 플레이를 하길래, 혼구녕을 내줬다!(?) - 이것이야 말로 아들과 플레이할 때 가장 최 강점이 아닌가 싶다. ㅎㅎㅎ

그 이후에야 비로소 특수 능력을 활용하더니, 플레이가 좀 더 안정적으로 돌아가기 시작했다. 역시 말 안들으면 혼나야됏! ㅋㅋㅋ

아직 밝혀지지 않은 구역들도 잇었지만, 이래저래 봐달라 해서 봐주다 보니 어느덧 마지막 지역까지 와버린 해병이다. 더 많은 이야기는 스포가 되기 때문에 곤란하다. 궁금하다면 꼭 플레이 해보시길 바란다. 잼있으니까~~~~~~~~~

해병이 이렇게 침략자들에게 둘러 싸여 있지만, 결국 모두 해치우고, 4구역으로 이동해 갔다. 축하한다 아들! 드디어 시나리오 1을 끝냈구나~~~~

게임은 잼있다. 익숙해 지면 익숙해 질 수록 숨은 구역, 숨은 아이템을 찾아야 하는 리플레이성도 좋다. 다만, 온라인 게임도 그렇듯~ 침략자만 시나리오 룰북을 볼 수 있기 때문에, 해병 플레이어에 대한 리플레이 성은 좋지만, 침략자는 좀 지루해 질 수도 있다. 그럴때 RPG 게임 뺑뺑이 돌듯이 해병으로 플레이 하면서 구석구석 다 정리하는 재미도 있을 것이다. 시나리오는 다 번역 했으니~~~ 이제 쭉쭉 플레이할 일만 남았다. 아들과 방학동안 잼있는 시간이 됐으면 하는 바람이다. 아들아~~~! 신나게 놀자~~~~~~~~~~~~~~~~!

반응형
반응형

지난 크리스마스 때, 아들과 무슨 게임을 해볼까? 하다가 뜬금없이 미루어 두었던 둠을 플레이하고 싶어 졌다. 구매한지는 오래 됐는데, 늘 한글화 하기 귀찮아서 미루다 보니 여태 못해보고 있었던 것이다. 그래서 꺼내들고 룰북을 펼쳐 보는데~~~ 생각보다 룰이 어렵지도 않고 몇시간만 투자하면 일단 해볼 수 있겠다 싶어 플레이를 해보았다. 역시나 어렵진 않았다. 다만, 시나리오 기반인 게임이다 보다 어설플 시나리오 진행으로는 그리 크게 재미로 다가오진 못했다. 플레이 자체는 괜찮았다. 시스템도 기어즈 오브 워와 또 다른 맛이 있었다. 하지만, 심오한 시나리오가 필요하다는 생각 끝에, 이참에 그럼 번역을 해보자 싶어서 작업하게 되었다. 전체 시나리오는 정말 영화의 한 장면을 연출게 하지만, 상상력이 뒷받침 되어 줘야 할 것이다. 한 마디로 몰입도가 필요하다. 시나리오 자체가 몰입도를 증가시켜 주기는 하지만, 그래도 플레이어들 스스로가 몰입하는게 이런류의 게임을 더 잼있게 즐길 수 있는 방법인것 같다.

[시나리오 번역 샘플 이미지]

둠 시나리오 5개 + 온라인 시나리오 1개 한글 번역:

Doom_Scenario_Kr.pdf


[참조판 샘플 이미지]

둠 침략자와 해병의 한글 참조판:

Doom_Invader_Marine_Refsheet.pdf

[토큰 요약 샘플 이미지]

토큰 요약:

토큰 요약.pdf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