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번 주말 모임에서는 정말 많은 게임을 했다. 물론 간단해서 많이 해볼 수 있었지만, 많이 한다고 뭐 딱히 좋은건 없지만 서도, 동생이 새로운거 많이 받았다고 해서 일단 해보는걸로 정했으니.. 다행히 다 해봤네.


1.Boots on the Ground

가볍게 구입한 게임이다. 워싱턴 게임즈에서 나온 현대전의 테러리스트를 진압하는 게임이다. 시나리오 기반의 여러 게임이 있지만, 첨이라 제일 쉬운 시나리오를 선택했다. 오른쪽 하단에서 왼쪽 상단까지 최소 8명(알파팀과 브라보 팀 합쳐서)이 살아서 도착하면 우리가 승리하게 된다. 친구가 알파, 내가 브라보를 팀을 선택하여 시작했다.

슬슬 출발해 볼까?

알파팀이 앞에 있고, 뒤에 브라보팀이 있다. 멀지 않은 곳에 저항군이 있다.

알파팀이 메딕이 일찌감치 사망했다. 느닷없이 나타난 저항군에 의해 사살되고, 뒤에서 따라가던 브라보팀이 그 저항군을 제거하게 되었다. 

기본적으로 저항군에 시나리오에 의해 셋팅이 되고, 카드플레이로 등장하거나 이동하거나 사격을 하게 된다. 이날 건물 클리어를 해야 한다는 사실을 망각하고 전진했었는데, 건물을 클리어 하게 되면 저항군은 더이상 그 건물에 등장하지 못한다.(담에는 꼭 클리어 해야지)

이런저런 진행과 이야기를 나누다 보면 누구를 행동했더라? 하면서 헤깔릴 수가 있는데, 저렇게 커스텀 마커로 표시를 해두면 헤깔리지 않고 잘 할 수 있었다. 나이 들수록 확인용 마커같은게 꼭 필요한듯~~~~ ㅡ,.ㅡ;;; 

맵은 위성 사진이라 퀄리티가 그리 좋지는 않다. 하지만, 간단하지만 그 재미많은 어느 게임 못지 않게 잼있게 진행할 수 있었다. 담에는 좀더 어려운 시나리오로 해봐야겠다. 번역을 한 보람이 있는듯~~~~ 


2. 향신료의 길

이게임은 빌더스 처럼 필요한 자원카드를 가져오고, 사용하여 점수 카드를 구입해 많은 점수를 얻는 사람이 승리하게 되는 게임이다. 게임성은 빌더스랑 거의 차이가 없는 듯 하다. 카드가 쓸데없이 크다는 점도 맘에 들지 않는다. 제목이 향신료의 길이지만, 제목일뿐 게임성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 그래서 이런류는 별루 좋아 하지 않는다. 큐브 토큰도 그저 색깔다른 큐브일뿐, 그냥 열심히 계산만 잘하면 되는 게임이다. 노랑을 빨간색으로 바꾸고, 녹색이 필요한데? 그렇다면 고동색 큐브를 녹색과 노랑이로 바꿔주는 카드로 녹색 큐브를 얻어야 겠다. 뭐 이런식으로 생각하면 된다. 동전이 있는 점수 카드를 먹으면 보너스 점수도 받을 수 있지만, 크지는 않다. 상황을 봐서 동준이 놓여져 있지 않은 다른 큰 점수 카드를 얻는게 오히려 좋을때도 있다. 게임은 그리 나쁘지는 않다. 빌더스를 잼있게 한 사람이라면 누구나 잼있게 할만하다. 이 게임은 인터액션이 없다. 혼자 묵묵히 필요한거 가져오고 다음에는 뭘 가져올까? 혼자 고민하고 진행하면 된다. 서로 말을 섞을 일도 없다. 그냥 조용히 내 할것만 하면 되는~~~ㅡ.,ㅡ;;; 그래서 이런류는 별루 좋아 하지 않는다.

향신료의 길 박스 사진.

내가 들고 있는 카드, 왼쪽이 고동색 큐브를 녹색 3개와 빨간색 1개, 노랑이 1개로 바꾸어 주는 카드이다. 아른 것들도 거의 교환 카드가 많고, 직접 생산해 주는 카드도 있고, 교환이 아니라 가지고 있는 큐브를 직접적으로 업그레이드 해주는 카드도 있다. 이런 저런 카드를 가져오다 보면 내가 손이 큰편인데도 손에 다 들고 있기 불편할 지경이 된다. 구지 저렇게 카드가 클 필요는 없는데.... 그림이 이쁘다? 그림볼 시간도 없다. 어떤카드가 나에게 유리하고 승리로 이끌어 줄지 고민하기 바쁜데 그림 따위 볼 시간이 없다. 카드만 좀 작았어도 편리했을 듯~~~ 아쉬운 부분이다.

이렇게 금화 2개와 은화 1개, 빨간색 큐브 1개와 점수카드(18점, 18점, 15점, 9점)를 얻으면서 승리를 했다.


3.코티지 가든

우베아저씨 게임이다. 개인판의 빈 곳에 화원틀 가꾸어 점수를 내는 게임이다. 개인판에 화원을 다 채우면 중간에 공용으로 있는 개인판으로 교체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공평하게 개인판이 주어지게 된다. 필요한 모양의 타일을 잘 골라서 빈틈없이 잘 채우면 된다. 그냥 그냥 할만하다. 

주사위는 턴을 표시하며, 한 명의 차례가 끝나면 다음 칸으로 이동하다가 어느 칸에 도착하게 되면 주사위를 2로 표시하여 다시 한바퀴 돈다. 이렇게 6라운드를 진행하게 되는데 진행은 상당히 빨리 진행하게 된다. 잔고할 것도 없다. ㅎㅎㅎ

내가 선으로 시작해서 게임을 끝냈다. 최종 점수는 저렇게 나왔고, 하단에 마지막으로 채워놓은 꽃밭이다. 화분이 있는 칸에는 타일이 최대한 올라가지 않게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캔인지 유리인지 저 자리도 마찬가지다. 그냥 흙으로 보이는 빈칸만 최대한 꽃타일로 채워주면 되고, 그렇게 채워지고 나면, 화분과 캔이 점수가 되는 것이다. 


4.킹도미노

아주 간단한 타일 놓기 게임이다. 정말 빠른 진행을 자랑한다. 재미는 아주 소소한 간단한 재미라고 생각하면 된다. 아이들이랑 해도 괜찮을 듯하다. 필요한 같은 그림의 타일을 많이 모으고, 이왕이면 같은 그림이지만 왕관이 있는 타일로 모으면 나중에 점수 계산에서 붙어있는 같은 그림 * 그 그림에 있는 왕관갯수로 계산하기 때문에, 여러종류를 모이기 보다는 한두가지를 정해서 왕관이 있는 필요한 타일들을 모으는게 좋을 듯 하다. 간단히 즐길 수 있는 게임.


5.스플렌더

다들 아는 게임일듯 하다. 역시나 필요한 자원이 되는 카드를 모아서 보너스 점수 타일을 먼저 획득하고, 필요한 점수가 되는 자원 카드를 먼저 모아서 15점이 되면 승리하는 게임이다. 이것도 마찬가지로 인터액션이 별루 없는 게임이다. 내가 필요한 카드, 자원 가져오기 바쁘다. 개인적으로 빌더스가 더 재미있다고 생각이 된다. 향신료의 길도 마찬가지지만, 비슷비슷한 시스템에 비슷비슷한 게임성이다. 테마와 게임성에 별 연관관계가 이것도 별루 없다. 색깔만 보고 플레이해도 되는 게임이다. 그 뒤에 있는 그림따위는 중요치 않다. 스타워즈 그림을 넣어도 되고, 왕좌의 게임 그림을 넣어도 이상하지 않을 정도다.

너무 이것저것 자원을 모으느라 한방이 나오질 않는다..ㅡ.,ㅡ;; 다음에는 좀 더 집중해서 모아야지.


어찌 되었던 정말 간만에 여러가지 간단한 게임들을 많이 돌린듯 하다. 무려 5개나~~~간단한 게임이라서 가능하기도 했지만, 뭐 많이 한다고 더 잼있는것도 아니니 다음에는 좀 더 집중력있게 할 수 있는 게임을 해야겠다. 이번에는 쉬운것들만 했으니~~~ㅎㅎㅎ 좋은 사람들과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어서 좋다. 


반응형
반응형

이 룰북은 최초 나왔던 룰북의 업데이트 버전으로서 추가 룰과(얼마 되진 않습니다) 추가 시나리오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Rommel In The Desert: 한글 룰북

Rommel in the Desert_Kr_v01.pdf


PS: 룰 북 우측 단에 있는 역사적인 사실에 대한 내용은 본 룰북을 이전에 번역하신 사탕발림님의 내용을 차용했음을 알려드립니다. 

반응형
반응형

간만에 모따에서 즐거운 시간을 가졌다. 지난번에 플레이를 하다가 끝을 못본 1776과 동생이 가져온 퍼스트 클래스를 플레이 했다.


1.New York 1776

이 게임은 1776년 미국의 독립선으로 인해 영국이 미국 시민군과 싸우게 되는 테마를 가지고 있다. 게임은 간단하다. 유닛별 이동과 장군이 속해 있는 그룹의 이동으로 뉴욕을 점령과 손실을 적게 해서 승리 또는 미국의 워싱턴 장군을 때려잡으면 영국이 승리를 하고 그 외에는 미국이 승리한다. 간단함 속에 라인 배틀과 보급로 차단및 뉴욕과 오른쪽 상단(아래 그림에서) 지역 이름이 생각이 안나지만, 여기를 점령함으로써 시민군의 일부분을 제거할 수도 있다.

맵도 간단하고 구성물도 간단하다. 하지만, 여러번 플레이를 좀 해봐야 할 게임이다. 처음에 플레이를 했을 때는 간단함과 재미가 있었는데, 이날 끝까지 플레이를 해보니 마무리로 갈 수록 좀 싱거워지는 느낌이 든다. 계속 도망다니는 워싱턴을 잡아야 하는데, 턴은 계속 지나가고, 살짝 지루해 지는 느낌? 물론 미국을 플레이한 친구가 게임 흐름을 몰라서 유닛 구성을 잘 못한 탓도 있겠지만, 게임 시스템 자체의 문제가 있는건가? 싶기도 하다. 보급로를 차단하는 것도 그리 쉽지는 않다. 여기저기 구멍이 많아서 그걸 다 차단하면서 워싱턴을 때려 잡기에는 병령 분산이 많이 생기기 때문에 쉽지가 않다. 일단 연구좀 해봐야 할 것 같다.


초기 셋팅에서 4턴을 진행한 상태. 

배는 매 턴 마다 영국만이 사용할 수 있는데, 주사위 굴림으로 이동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날씨의 무자기 성을 표현하기 위한 시스템이라고 설명을 하고 있다.

뉴욕을 지키고 있는 미국을 바다건너에서 영국이 보고 있다. 미국은 요새에서 방어하고 있고, 바다를 건너서 영국이 공격해야 하기 때문에 첫 전투에서 최대 주사위 굴림에서 -2(주사위 2개를 빼는)로 공격을 해야한다. 전투 한 라운드만 운이 따라주면 쉽게 뉴욕을 먹을것 같다.

이 게임은 매턴 기본 AP에 주사위 굴림에 따른 추가 AP를 받을 수 있다. 4턴에서는 미국이 홀수를 굴려 +1 AP를 받았고, 영국도 홀수를 굴려 +1 AP를 받았다. 배도 역시 홀수 굴림으로 인해 이번 차례에는 이동을 할 수가 없다.

전투는 이렇게 배틀 맵에서 따로 치르게 된다. 라인배틀을 표현하고 있다. 왼쪽, 중앙, 오른쪽 그리고 후미는 예비 병력을 두는 곳인데, 앞열 3열 중에 하나가 비어있게 되면, 강제 후퇴를 해야 한다. 그래서 배틀 라운드 중에 전선의 한 곳으로 예비칸을 거쳐 이동할 수 있다. 현재는 미국에 민병대 밖에 없어서 아마도 중앙 병력으로 영국이 밀어 붙이면 쉽게 이길 수 있는 상황이다.

블럭 상단의 숫자가 전투 주사위 굴림의 주사위 수이다. 어떤 유닛이건 6이 명중이지만, 대포만 5,6 명중이다. 거기다가 미국의 영국 전투 주사위 굴림에서 1이 나오면 민병대는 바로 도망을 간다(예비칸으로). 영국 중앙에 보이는 검은 색 블럭은 헤시안 군인으로 미국이 두려했다. 그래서 헤시안은 1,2가 나오면 미국 민병대 유닛은 도망가게 된다. 미국이 전투로 영국을 이기기에는 쉽지않다. 전반적으로 약하기도 하고, 민병대의 도망이라는 룰이 있어서 더더욱 그렇다. 디자인 노트에서 설명하고 있지만, 미국은 소전투를 자잘하게 치루면서 영국의 SP(최대 주사위 굴림수)를 줄여 승리 조건을 달성하지 못하게 하는 정도가 최대 전략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가볍게 뉴욕을 점령해 버렸다. 이제 미국은 매 턴 시작마다 NY 민병대를 하나씩 제거해야 한다. ㅋㅋㅋ 미국은 민병대와 정규군을 적당히 잘 섞어서 배치를 했어야 했는데, 친구가 첨이라 그 점을 관과하여 더 쉽게 밀렸다. 담에는 잘 하것지뭐~~~ 

블럭게임은 역시 사진 찍을때 이런 맛이다. 뭔가 뽀대가 난다. 맵이 우유팩 재질이라 펴도 쫙! 펴지지가 않는다. 그래서 유리판을 사용해서 올려놓았다. 아주 깔끔하게 블럭을 놓을 수 있다. 하지만, 저기 보이는 화이트보드와 유리판을 늘 차에 가지고 다녀야 하는...ㅎㅎㅎㅎ

AP 블럭이 미국 위에 있는거 보니 영국이 차례를 진행중인것 같다. 8턴을 진행중이고, 뉴욕 아일랜드를 거의 다 점령해 가고 있는 모습니다. 오른 쪽 상단 영국이 거점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역시 미국은 CT 민병대 한 개를 매 턴 마다 제거를 해야한다.. 아마 저 상황에서는 거의 다 제거가 됐을 듯.

뉴욕 아일랜드에서 미국은 영국에게 양쪽으로 포위 되어 있다.(중앙 3블럭) 저 상황에서 미국은 탈출구가 없다. 항구가 있는 곳도 아니고, 유닛 수로도 열세를 보이고 있고, 영국이 들어가면 그냥 전멸이다. ㅡㅡ;;;

역시 미국은 중앙 3블럭은 전멸을 하고, 미국이 전열을 다지고 있다.

ㅎㅎㅎ 워싱턴만 남았다. ㅡㅡ;;; 다른 게임도 마찬가지긴 하지만, 이 게임은 더더욱 간단한 룰이지만, 룰을 꽤차고 있어서 전략성이 좋아지는것 같다. 민병대를 잘 섞어야 하는 이유도 시스템을 잘 이해 못하면 배치에서 부터 이미 패전을 이끄는 상황이 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내가 좀더 배치할 때 더 잘 설명을 했어야 하는데~~~ 내탓이요! 내탓이요! 내탓이로다! 친구야 미안~~~ ^^

이렇게 16턴에 워싱턴을 때려 잡으면서 게임은 종료 됐다. 움.. 맵에 대한 이해도와 룰적인 전략성을 좀 더 연구해야 겠다. 플레이 하면서 만약에 미국이 이렇게 나온다면? 저렇게 나온다면? 상상하면서 플레이를 했는데, 도망 다닐 경우 도주로를 어떻게 차단하면서 압박해 나가야하나? 이런 고민들이 많이 생겼다. 좀 더 면밀히 분석하면서 플레이할 필요성이 느껴진다. 여튼 함께 플레이할 수 있어서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 (플레이 타임 1시간 40분 정도~~)


2. First Class

철도 관련 게임이다. 중앙에 깔리는 카드를 수집하면서 개인판에 있는 내용들을 업그레이드 하고, 좀 더 먼 거리를 여행하기 위한 철로 카드도 수집해 가면 이런 저런 잇점을 얻고, 게임 끝에 많은 점수를 얻은 플레이어가 승리를 한다. 이게임도 기타 여러 게임들 처럼 점수를 먹을 수 있는 여러 상황들이 있고, 그 내용을 아는 자와 모르는 자의 점수 차이는 크게 난다. 당연 이 게임을 잘 아는 동생이 승리를 했다. 개인적으로 크게 재미를 느끼진 못했지만, 룰 보다 막상 플레이를 해보면 쉽게 받아 들일 수 있는 게임이라 누구나 쉽게 배울 수 있고 즐길 수 있는 게임이라 생각한다.


초기 플레이 상황이다. 

초기 나의 개인판 모습. 상단이 철로 관련 카드가 놓이는 곳이고, 오른쪽은 기차칸을 길게 만들기 위한 것과 기차칸을 업글하여 차장이 있는 칸까지 점수를 높일 수 있도록 업그레이드도 할 수 있다.

중앙에는 3인플 기준 3열 6장을 놓는데, 한 열에 3장이 남으면 자동 패기 된다. 그렇기 때문에 나에게 가장 효율 적이면서도 상대에게 필요한 카드가 뭔지 잘 보면서 선택해 나가야 한다.

아래 내 굵다리가 보이네. ㅎㅎㅎ 이날 반바지를 입고 갔는데, 날은 선선했다. 게임의 엔딩 모습. 자리를 정말 엄청 차지한다. 카드가 많이 깔리고 저렇게 정신 없어 보이는 게임은 정말 나랑 안 맞는듯... 아우..정신 없어~~~

나름 열심히 업그레이드 하고 열차칸도 열심이 늘여갔다. 열차칸 업그레이드가 생각보다 여의치 못했다. 나름 철로 카드로 점수를 먹어 볼까? 하다가 중반 이후부터 열차칸에 신경을 섰는데 그 이유는 동생이 열차칸을 늘리고 열심히 업그레이드 하는거 보고 나도 한 번 따라해 봤다. 안 그랬으면 100점도 못 넘을 뻔 했다. ㅡ,.ㅡ;;;

동생이 파란색으로 120점, 친구가 노란색으로 61점 ㅋㅋㅋ, 내가 빨간색으로 19점을 했다. 뭐 이정도면 첫 플레이 치고는 나쁘지 않은 듯.


3. 7 Wonders Duel

이건 사진이 없다. 왜? 안 찍었으니까. ㅎㅎㅎ 내가 플레이 한 것은 아니고 친구랑 동생 둘이 하라 하고 난 옆에서 구경을 했다. 7원더스 본판 보다는 좀 더 깔끔하니 눈에 잘 들어왔다. 하지만 내 스타일은 아닌건 여전하다. 문명게임인데 문명 답지 못하고, 전투 요소도 있지만, 전투와는 아무 상관이 없다. 내가 빠져 들 수 있는 테마도 없고, 플레이 시스템도 카드 컬렉션이라 역시 내가 좋아 하지 않는 시스템. 에효... 어쨌든 제대로 구경할 수 있는 시간이라 나름 볼만했다. 내가 하고 싶지는 않지만~~~~ ㅋㅋㅋ


이렇게 이날도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 같이 할 수 있는 친구가 있어서 좋고, 동생이 있어서 좋다. 다음에도 즐거운 시간 가지기를 기대해 본다.


반응형

+ Recent posts